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에서 Starlink 를 개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우선 한국은 Starlink 서비스의 공식 지원 국가가 아니라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데요
Starlink 지원 국가 목록에 가서 보시면 이렇게 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이런 제한을 우회하고 한국에서도 Starlink 를 개통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우선 회원가입이 필요한데요, 회원가입을 위해서는 현재 Starlink 기기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하셔서 가지고 계신 Starlink 키트 혹은 기기의 고유ID 를 입력하셔서 가입을 진행합니다.
https://starlink.com/activate
이후 주소를 입력하는 화면에서 미국 혹은 일본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일본이 환율상 조금 더 저렴).
한국 주소를 입력하는 경우 가입불가로 표시되니 주의해주세요.
본인이 사용하는 배송대행지 주소를 입력하시는 것도 상관 없습니다.
다만 설정한 지역에 따라 사용 가능한 요금제가 다를 수 있습니다.
주소를 입력하고 넘어가시게 되면 요금제를 선택하는 화면이 뜨게 됩니다.
이때 주의해야할 점은 Residential 혹은 Business 요금제를 선택하시게 되면 한국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설정한 주소 반경 1km 이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사용이 불가능 한 것 입니다.
따라서 한국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Roam 요금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Roam 요금제는 Residential 혹은 Business 요금제 보다 비쌉니다.
원래 얼마전까지는 Roam 요금제는 사용 가능한 용량이 정해진 종량제 요금제만 가입이 가능했으나 최근 새로운 Roam Unlimited 요금제가 추가되면서 무제한 요금제도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2025년 11월 기준
Roam 50GB 요금제는 $50/월
Roam Unlimited 요금제는 $165/월
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요금제를 결정한 이후 결제정보를 입력하고 완료하면 스타링크 계정 가입이 완료됩니다.
일부 지역은 사용자가 많을 경우 가입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지역을 변경해야 합니다.
이후 스마트폰 Starlink App 을 통해서 실제 설치 및 개통 절차를 끝내면 Starlink 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아직 한국에는 Starlink 지상국(PoP)이 없기 때문에 일본 지상국으로 연결되며 네트워크 ISP 가 STARLINK TKYOJPN POOL 로 표시됩니다.
한국은 공식 지원 국가는 아니지만 Starlink 위성의 통신 범위권이기 때문에 정상적이고 빠른 통신이 가능합니다.
제가 테스트 해보았을때는 2~400Mbps 정도 표시되었고, 딜레이는 10~30ms 정도 표시되었습니다.


대시보드를 보시다보면 Priority Data(우선순위 데이터) 라는 용어가 표시되는데 이는 평소에는 일반 데이터 우선순위로 취급되어 약간의 딜레이 혹은 속도저하가 있을수 있지만, 대시보드에서 Priority Data 를 ON 하게 되면 최고 우선순위 데이터로 취급되어 초저지연 딜레이와 초고속 대역폭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기본제공 Priority Data 는 50GB 이고 이후 추가할때 마다 종량제로 금액을 지불해야 합니다. 특히 Priority Data 를 ON 한 이후로 잊어버릴 경우에는 요금 폭탄을 맞을수도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Roam 요금제는 원하는 때에 일시정지 하고 재활성화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재난대비 여러 기반시설 구축 및 설계가 필요하신 경우 아래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email protected]
